다 쓰러져가는 초가집에 외동딸을 시집보낸 노부부 단둘이 살고 있었습니니다.
그런데 어느 해 안타깝게도 그 노부부가 살던 초가집이 심한 태풍으로 집이 날아가 버렸습니다.
노부부는 어쩔 수 없이 시집간 딸에게 부탁해 의 딸네 집으로 이사했습니다.
딸의 집에는 딸과 사위는 물론 아이가 넷이나 되었기때문에 몹시 비좁았습니다.
처음에는 딸과 사위는 늙으신 아버지와 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보람을 가지고 지냈지만
얼마 못가서 집안이 비좁은 관계로 태풍을 원망하며, 아버지와 어머니에게 대놓고 불평을 늘어놓게 되었습니다.
노부부는 딸네 집에 얹혀 사는 것이 편치 않았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어 그냥 하루하루를 지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렇게 지내면서 사위와 딸의 불평이 늘어갔고,노부부도 딸네 집에 온 것을 후회하며 한숨을 쉬는 날이 늘어만 갔습니다.
아이들도 괜한 짜증을 내며 할어버지와 할머니를 대하는 태도가 거칠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불편한 상황에 직면하자
그동안 부모님을 잘 모신다고 효녀 소리를 듣던 딸이 심각한 고민에 빠졌습니다.
고민하던 딸이 남편과 함께 마을에서 가장 현명한 노인에게 찾아가서 물었습니다.
‘어르신! 저희들이 도대체 어떻게 해야 되겠습니까? "
딸 부부의 이야기를 한참 듣고 있던 노인이 말문을 열었습니다.
“집에 닭을 키우는가?”
“예, 키웁니다.”
“그럼 닭을 집안에서 키우게!”
전혀 예상하지 못한 황당한 대답을 들은 딸 부부는 망설였습니다.
그러나 동네의 현명한 어르신이 하신 말씀이니 순종하기로 했습니다.
그들은 그날부터 마당에 있던 닭을 집안으로 들여놨습니다.
하지만 닭들과 같이 살게 된 가족은 더 큰 불만이 생겼습니다.
심지어 험악한 욕설까지 쏟아졌습니다.
며칠 후 딸 부부는 다시 노인을 찾아가 방법을 물었습니다.
“자네 집에서는 돼지도 키우는가?”
“예, 키웁니다.”
“그럼, 이번에는 돼지를 집안에서 같이 키우게.”
역시 황당한 충고였지만 노인의 말을 믿기로 했습니다.
집에 돌아온 딸부부는 돼지를 집안에서 들어다놓았습니다.
이제 방안에서 닭과 돼지까지 키우게 되었습니다.
이같은 일로 집안은 엉망진창이 되었습니다.
서로에 대한 불평이 예전보다 수십배다 더하게 되었습니다.
딸부부는 노인이 가르쳐준 방법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고 노인을 다시 찾아갔습니다.
찾아온 딸 부부를 만난 노인이 이번에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이제 집에서 닭과 돼지를 모두 내보내게!”
"뭐라구요? "
"닭과 돼지를 방에서 모두 내보내라구!”
돌아온 딸 부부는 재빨리 닭과 돼지를 집 밖으로 내보냈습니다.
그러자 방안이 너무나 조용하고 평안했습니다.
닭과 돼지가 방에서 나가자 집안이 휑하니 넓어졌습니다.
좁은 집이었지만
그 동안 온 가족이 오손도손 살았던 공간이
이제 소중하고 편안한 공간이 되었습니다.
이후
가족들은 불평과 불만보다 서로 이해하고 감사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얼핏 보기에는 쉽고 간단한 말입니다.
그러나 상황이 안 좋거나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우리는 거의 습관적으로 안 좋은 일, 힘들고 어려운 기억 등을 더 많이 떠올립니다.
사실 대부분의 상황은 생각보다 심각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불필요하게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는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긍정적으로 보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부정적인 태도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교의 마틴 셀리그만 박사가 부정적인 사고와 건강에 대해 연구를 했습니다.
마틴 박사의 연구팀은 25 ~ 65세의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긍정적/부정적 생각을 수치화하고 그들의 건강 상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진들은 부정적 사고가 나이가 들어갈수록 더욱 건강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 켄터키 대학의 연구진들이 긍정적인 사람들과 부정적인 사람들에게 바이러스를 주입하여 그들의 면역력을 살펴 보는 실험을 했는데, 그 결과는 긍정적인 사람들이 더 강한 면역력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것처럼 쉽지 않습니다.
매일 의식적으로 집중하고 노력해야 긍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관적으로 생각하려는 우리의 뇌를 살살 타일러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을 즐기지 않으면 부정적인 생각의 함정에 빠지기가 쉽습니다.
그러므로 무슨 일을 하든지 내가 좋아하는 일을 우선적으로 해야 합니다.
인생이 짧은 것 아니지만 그렇다고 긴 것도 아닙니다.
시간은 돈처럼 아껴써야 하고, 절약해야 합니다.
긍정적인 확신을 반복해서 이야기하삽시오
자신 스스로를 높이 평가하고 존중하십시오.
아침마다 일어나서 긍정적인 구호를 외치십시오.
1. 나는 일을 완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2. 나는 상황을 극복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있다.
3. 나는 강한 사람이므로 계속 나아갈 수 있다.
4. 나는 아이디어가 끊임없이 샘솟는다.
5. 나는 나만의 성공법칙을 가지고 있다.
6. 나는 일곱번 넘어져도 여덟번 일어날 수 있다.
7. 나는 항상 하나님과 가까이 있다.
8. 나는 사랑하는 가족이 힘을 주고 있다.
9. 나는 매일같이 성공하는 꿈을 꾼다.
10. 나는 할 수 있다(Yes, I can)!.
"I can do everything through him who gives me strength."
「나는 비천하게 살 줄도 알고, 풍족하게 살 줄도 압니다.
배부르거나, 굶주리거나, 풍족하거나, 궁핍하거나,
그 어떤 경우에도 적응할 수 있는 비결을 배웠습니다.
나에게 능력을 주시는 분 안에서, 나는 모든 것을 할 수 있습니다.」
- 빌립보서 4장 12~13절(새번역) -
- 하늘가는 길, 강릉남대천에서. 산돌의집 장득룡 -
'묵상과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얘야! 깨어진 조각을 붙이는 것보다 새로 시작하는 것이 더 이로울 때도 있단다." (1) | 2021.06.27 |
---|---|
다 때가 있다 (1) | 2021.06.20 |
'오늘 나의 가장 친한 친구가 나의 생명을 구해주었다.' (0) | 2021.06.14 |
"그 소녀는 누구도 지불할 수 없는 아주 큰 돈을 냈습니다." (0) | 2021.06.11 |
"여보! 제가 평생 아버님을 정말 친아버지처럼 생각하고 모시겠어요." (2) | 2021.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