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가난하지만 청렴하기로는 제일이라 하는 선비 홍기섭이 살았습니다.
홍기섭(洪耆燮,1781~1866)은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로 본관은 남양(南陽)입니다.
그는 젊었을 때, 아침을 먹고 나면 저녁 끼니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궁핍하였습니다.
그러나 청렴하기로는 감히 그를 따를 자가 없었습니다.
참봉으로 임명되어 계동(桂洞)의 윗마을에 살고 있던 홍기섭의 집에 어느 날 도둑이 들었습니다.
집안으로 들어온 도둑은 아무리 사방을 둘러보아도 훔쳐갈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그러자 도둑은 솥단지라도 떼어가겠다는 마음으로 부엌으로 향했습니다.
방에서 인기척 소리를 들은 홍기섭의 부인은 남편에게 귓속말로 속삭였습니다.
"도둑이 부엌에 들어와 솥단지를 떼려고 합니다."
홍기섭은 부인의 이야기를 듣고,
"부인, 그것을 떼어가려 하는 것을 보니 우리보다 더욱 형편이 어려운 사람인 것 같소."
"부인, 그냥 가져가도록 하십시다."
말하며 태연하게 다시 잠을 청했습니다.
한편 부엌에 든 도둑은 솥단지를 떼려고 솥뚜껑을 열어보니 한 동안 밥을 해 먹은 흔적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도둑은 갑자기 집 주인이 측은하고 가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도둑은 낮에 다른 곳에서 훔친 일곱 량의 엽전 꾸러미를 솥단지 속에 넣어두고 나왔습니다.
이튿날 아침 홍기섭의 부인이 부엌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떼어간 줄로만 알았던 솥단지가 제자리에 있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솥 안에 누런 엽전까지 들어 있었습니다.
홍기섭의 부인은 이것은 필시 하늘이 우리 부부를 불쌍하게 여겨 내려 준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남편 홍기섭에게 말했습니다.
"이 돈으로 우선 땔나무와 식량이며 고기를 좀 사면 어떻겠어요?"
그러자 남편 홍기섭은 정색을 하며 아내를 나무랐습니다.
"이것이 어찌 하늘이 내려 준 것이겠소?
이 돈은 틀림없이 잃어버린 자가 있을 터이니 돈의 주인이 나타나기를 기다렸다가 돌려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홍기섭은 그 자리에서 방을 써서 대문에 붙였습니다.
‘돈을 잃어버린 사람은 빨리 와서 찾아가기 바라오!’
이윽고 해가 질 무렵이 되었습니다.
지난 밤의 그 도둑은 선비의 집 동정도 살펴볼 겸 왔다가 대문에 써 붙인 글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상한 생각이 들어 홍기섭의 부인에게 물었습니다.
"이 집이 누구 댁이오?"
부인이 "홍 참봉 댁이오."라고 대답을 했습니다.
그러자 다시 도둑이 물었습니다.
“저기 대문에 써 붙인 글은 무슨 뜻이오?"
이에 부인은 그간의 이야기를 소상히 알려주었습니다.
그러자 도둑은 무언가 결심을 한 듯 홍 참봉을 만나 뵙기를 청하였습니다.
홍기섭을 만난 도둑은 땅 바닥에 엎드려 공손하게 절을 올리고, 자신이 어젯밤에 들렸던 도둑임을 밝혔습니다.
“남의 집 솥 안에 돈을 잃어버릴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러면서 자신이 돈을 놓고 가게 된 사연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도둑은 홍기섭에게 정중하게 돈을 받아줄 것을 청하였습니다.
그러자 홍기섭은 "내 물건이 아닌데 어찌 갖겠는가. 당장 가져가기 바라네!"라며 완강하게 거절하였습니다.
도둑은 끼니를 끓이지 못하는 형편에서도 남의 물건을 취하지 않는 청렴결백한 홍씨의 인격에 감복했습니다.
도둑은 올바르지 못했던 자신의 생활을 뼈저리게 뉘우치며 자기의 과거를 숨김없이 고백했습니다.
“다시는 도둑질을 하지 않겠습니다.
제가 나리를 평생 모시도록 하락하여 주십시오.
그리고 그 돈도 거두어주십시오.”
“네가 양민이 되는 것은 좋으나 이 돈은 취할 수 없구나.”
이후 홍기섭은 날로 승진을 거듭하여 판서라는 높은 지위에까지 올랐습니다.
그의 아들 홍재룡은 헌종의 국구(장인)가 되어 부귀영화가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정직(正直)한 사람
하루만 행복하려면 이발소에 가라.
일주일을 행복하려면 결혼을 하라.
한 달을 행복하려면 말을 사라.
일 년을 행복하려면 집을 사라.
평생을 행복하려면 정직하게 살아라.
정직(正直)은 한자로, 바를 정(正), 곧을 직(直)으로 씁니다.
'바르고 곧다'는 말입니다.
솔직(率直)하다는 말과 비슷한데, 솔직은 거짓이 없고, 숨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정직(正直, Honesty)'이란 진실하고 열린 마음이며 사실을 그대로 말하는 태도입니다.
정직은 거짓 약속을 하지 않고 말한 대로 행하는 것입니다.
정직은 언행일치(言行一致), 즉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것입니다.
정직(正直)은 거짓이 없는 것입니다.
정직은 속임수가 없고, 진실한 것입니다.
정직은 교만하지 않는 것입니다.
정직은 이중 풀레이하지 않는 것입니다.
정직은 신뢰할 수 있는 사회를 이루는 기초이자 기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나의 이득을 위해 남을 속이고 이용하지 않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잔머리를 굴려서 속임수를 쓰거나, 다른 이를 바보로 만들지 않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행동뿐 아니라, 생각과 말이 일치합니다.
정직한 사람은 어떤 일이든 최선을 다합니다.
정직한 사람은 남에게 잘 보이기위해 '과장된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있는 그대로를 보여줍니다.
정직한 사람은 당당하고 담백하게 행동합니다.
정직한 사람은 약속할 때, 다른 이와 거래할 때 꼭 지킬 수 있는 것으로 약속합니다.
정직한 사람은 당장의 이익을 얻기 위해 거짓말하거나 속이지 않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남에게 좋은 인상(印象)을 남기고 싶고 또 잘 보이고 싶어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정직한 사람은 사람을 대할 때 속으로 치밀하게 계산하고 딱 거기까지만 보여주는 사람이 아닙니다.
정직한 사람은 진실을 말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정직한 사람은 잘못을 저질렀을 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용기를 가집니다.
정직한 사람이 모인 사회는 믿음직한 사회입니다.
정직하지 못한 사람이 모인 사회는 다른 이와의 관계에서 불신(不信)을 낳습니다.
정직하지 못한 사람은 다른 이에게 불편함과 불이익을 가져옵니다.
"여호와께서 보시기에 정직(正直)하고 선량(善良)한 일을 행하라
그리하면 네가 복을 받고
그 땅에 들어가서
여호와께서 모든 대적을 네 앞에서 쫓아내시겠다고
네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아름다운 땅을 차지하리니 여호와의 말씀과 같으니라"
- 신명기 6장18절 -
하나님께서는 우리들이 정직한 사람이 되기를 원하십니다.
정직과 진실은 하나님 자녀의 삶에 드러나는 표식입니다.
정직해야 성실하고, 성실해야 경건하며, 경건해야 거룩의 한 자락이라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정직한 자에게 축복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정직한 자들에게는 흑암 중에 빛이 일어나나니 그는 자비롭고 긍휼이 많으며 의로운 이로다"(시편112편4절)
서양 속담에 “하루를 행복하려면 이발을 하고 평생을 행복하려면 정직한 인간이 되라”고 했습니다.
미국 시민들의 영원한 존경을 받는 링컨은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습니다.
링컨은 18세에 집을 나와 상점 점원으로 일했습니다.
링컨은스무 살 되던 해에 고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리노이주의 한 상점에서 일하던 때였습니다.
밤늦게 상점 문을 닫고 장부를 보며 결산을 하던 링컨은 장부보다 3센트가 더 많은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생각해보니 그 날 낮에 한 부인으로부터 3센트를 더 받은 것이었습니다.
링컨은 거기서 한 시간도 더 되는 부인의 집을 찾아가 그 돈을 돌려주었습니다.
부인은 그 돈을 받고 링컨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것은 백금보다 더 귀한 3센트이군요. 당신의 정직한 마음은 반드시 참된 값으로 인정받을 때가 올 것입니다"
과연 링컨은 그 정직한 마음으로 미국의 운명을 바꾸었습니다.
링컨은 미국 제16대 대통령으로 세계 역사 속에 뚜렷이 남아 모든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인물이 되었습니다.
정직은 참된 성공의 유일한 법칙입니다.
신앙은 정직이라는 양심의 밭에서 자라고 열매를 맺습니다.
신앙인에게 정직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거리낌이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사이에서 장벽이 없는 상태입니다.
하나님 앞에서 거짓이 없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정직에는 '옳은 길을 따른다'는 의미가 들어있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자기의 이익을 따르지 않고 옳은 길을 따릅니다.
정직한 사람은 자기에게 이익이 된다 해도 하나님의 뜻에 맞지 않는 길을 선택하지 않습니다.
정직한 사람은 하나님의 뜻을 기준 삼아 살아갑니다.
정직한 사람은 그 길을 선택해서 자신이 희생할 일이 생기더라도 기꺼이 삽니다.
정직하지 않은 그리스도인은 없습니다.
정직하지 않다면 그리스도인이 아닙니다.
정직은 신앙생활에서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덕목입니다. 평안!
'묵상과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말 미안하네. 나는 영국 총리 처칠이네! (2) | 2025.05.31 |
---|---|
부활절 - 문들이 닫혔는데 예수께서 오사 가운데 서셨다 (0) | 2025.04.16 |
뚜벅뚜벅 걸었던 사람 (2) | 2025.01.25 |
세상에서 가장 망치질 잘하는 할아버지 (0) | 2025.01.11 |
바보 하나님 이야기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