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형 인간>은 아무도 방해하지 않는 고요한 아침시간에 명상, 하루계획, 간단한 운동, 꿈꾸는 미래, 목표상기 등과 같은 것을 하여 성공적이고 건설적인 삶을 살자는 걸 말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성공적이고 건설적인 삶을 위한 준비활동이 다른 형태의 사람들은 할 수 없는 것일까요?
보통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사람들은 다 아침 일찍 일어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6twX/btrrd6tNP5t/DcRgbdKaJOvAEajVKIiHY1/img.png)
1998년, 스티브 잡스의 종용으로 애플에 입성한 팀 쿡은
2011년, 애플사의 CEO에 오른 인물입니다.
그는 애플에서 근무하기 이전에도 12년간 IBM의 개인용 컴퓨터 사업 북미 총괄 책임직을 맡았습니다.
컴퓨터사 컴팩에 몸담은 이력도 있습니다.
그는 현재까지 미혼으로 지내며 오로지 일에 자신의 에너지를 모두 쏟아붓는 유형입니다.
그는 매일까지 새벽 3시45분에 일어납니다.
이쯤 되면 아침형 인간을 넘어 새벽형 인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상 시간은 애플과 인연을 맺기 전부터 지속되어 왔던 본인만의 생활습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CEO 하워드 슐츠는 새벽 6시에 출근합니다.
제너럴 모터스 최고 경영자 마리 바라,
피아트크라이슬러그룹(FCA) 회장,
세르지오 마르치오네
이들이 예외없이 기상 시간이 3시 30분으로 매우 이른 시간부터 활동을 시작합니다.
마르치오네 회장이 아침 해가 보이지도 않을 시각에 눈을 뜨는 이유는
6시간 정도 시차가 있는 유럽 경영진과 원활하게 업무 소통을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국내 경영인 중에서도 새벽형 인간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몇해 전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형지그룹의 최병오 회장은
새벽 4시, 늦어도 4시 30분에는 일어나 출근한 뒤 따로 피트니스센터를 가지 않고 회사에서 운동을 한다고 합니다.
대한항공 대표이사를 지낸 기업인 지창훈 전 사장은
오전 7시 30분이면 회사에 도착해 임원들과 커피를 마시며 회의를 한다는 이야기가 들리고 있습니다.
영국 작가이며 역사가인 윌리엄 캠던(/william-camden, 1551-1623)은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 (The early bird catches the worm.)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이 말은 부지런한 사람이 먼저 이득을 보고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보다 성실하고 부지런하게 움직이는 사람일수록 남들이 미처 발견하기 이전에 기회를 잡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새들은 일찍 일어나서 벌레를 잡는 게 아니라고 합니다.
사실은 오전에는 그냥 정찰만 하면서 먹이의 위치를 봐 두고, 오후에는 그걸 기억했다가 본격적으로 사냥에 나선다는 것입니다.
어쨋거나 중요한 것은 오전에 미리 먹이의 위치를 봐 둬야 하므로 일찍 일어나는 게 좋은 건 변함없습니다.
성경에는 아침에 일찍이 일어난 본보기 말씀들로 가득차 있습니다.
창새기의 아브라함을 비롯해서 주님의 부활을 맨처음에 목격했던 여인에게 이르기까지 아침 일찍이 일어났습니다.
아브라함은 일찍 일어나는 사람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나귀에 안장을 지우고 두 사환과 그 아들 이삭을 데리고 번제에 쓸 나무를 쪼개어 가지고 떠나 하나님의 자기에게 지시하시는 곳으로 가더니”(창 22:3).
야곱도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는 사람이었습니다.
“야곱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베게하였던 돌을 가져 기둥으로 세우고 그 위에 기름을 붓고 그곳 이름을 벧엘이라 하였더라”(창세기28장18-19절).
야곱은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베개하였던 돌을 기둥으로 세우고, 그 위에 기름을 붓고 그곳 이름을 벧엘이라고 하였습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아침 일찍 일어나서 일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바로 앞에 서라 그가 물로 나오리니 그에게 이르기를 여호와의 말씀에 내 백성을 보내라 그들이 나를 섬길 것이니라”(출애굽기 8장20절).
여호와의 명령을 듣고자 하는 사람과 여호와를 위해 헌신하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합니다.
“모세가 여호와의 모든 말씀을 기록하고 이른 아침에 일어나 산 아래 단을 쌓고 이스라엘 십이 지파대로 열두 기둥을 세우고”(출애굽기 24장4절).
여호수아가 백성으로 요단 강을 건너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했습니다.
“여호수아가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서 이스라엘 사람들로 더불어 싯딤에서 떠나 요단에 이르러서는 건너지 아니하고 거기서 유숙하니라”(여호수아 3장1절).
기드온은 하나님께서 자기를 부르신 것이 확실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아침에 일찍 일어났습니다.
“이튿날 기드온이 일찍이 일어나서 양털을 취하여 이슬을 짜니 물이 그릇에 가득하더라”(사사기 6장38절).
사무엘 선지자는 아침에 일찍 일어나 하나님의 일과 이스라엘 나라에 관한 일을 처리했습니다.
“사무엘이 사울을 만나려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났더니”(사무엘상 15장12절).
다윗은 부모님의 명령에 순종하기 위해서 아침에 일찍 일어났습니다.
“다윗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서 양을 양 지키는 자에게 맡기고 이새의 명한 대로 (음식을) 가지고 가서”(사무엘상 17장20절).
신앙의 사람은 영적인 아버지의 명령을 듣기 위해서 더욱 그러해야 합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과 교통하고자 하는 사람은 그가 누구라도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푸시는 구원과 기적을 보기에 가장 좋은 때는 바로 이른 아침입니다.
“이 밤에 여호와의 사자가 나와서 앗수르 진에서 군사 십팔만 오천을 친지라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보니 다 송장이 되었더라”(열왕기하 19장35절).
자녀를 가진 사람들도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하나님께 부르짖어야 합니다.
이것이 부모 된 자의 책임입니다.
“그 잔칫날이 지나면 욥이 그들을 불러다가 성결케 하되 아침에 일어나서 그들의 명수대로 번제를 드렸으니 이는 욥이 말하기를 혹시 내 아들들이 죄를 범하여 마음으로 하나님을 배반하였을까 함이라”(욥기 1장5절).
구약에 나오는 신앙의 사람들만 일찍 일어났을 뿐 아니라 우리 주 예수님도 일찍 일어나셨습니다.
“새벽 아직도 밝기 전에 예수께서 일어나 나가 한적한 곳으로 가사 거기서 기도하시더니”(마가복음 1장35절).
우리 주님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셨습니다.
주님은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기도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신앙인은 말씀을 듣기 위해서 이른 아침을 놓쳐서는 안됩니다.
“모든 백성이 그 말씀을 들으려고 이른 아침에 성전에 나아가더라”(누가복음 21장38절).
아침 일찍 우리 주님을 찾으러 나아간 자매들을 보십시요!
다른 사람들은 우리 주님을 찾지 못했지만 마리아는 찾았습니다.
“안식 후 첫날 매우 일찍이 해 돋은 때에 그 무덤으로 가며”(마가복음 16장2절).
아침에 일찍 일어났던 사람들을 통해서 아침에 도전하십시오.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하나님께 축복받는 길입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면 됩니다. 해 보십시오! 평안!
「안식일이 지나매
막달라 마리아와 야고보의 어머니 마리아와 또 살로메가 가서
예수께 바르기 위하여 향품을 사다 두었다가
안식 후 첫날 매우 일찍이 해 돋을 때에
그 무덤으로 가며
서로 말하되 누가 우리를 위하여 무덤 문에서 돌을 굴려 주리요 하더니
눈을 들어본즉 벌써 돌이 굴려져 있는데 그 돌이 심히 크더라
무덤에 들어가서 흰 옷을 입은 한 청년이 우편에 앉은 것을 보고 놀라매
청년이 이르되
'놀라지 말라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히신 나사렛 예수를 찾는구나
그가 살아나셨고 여기 계시지 아니하니라 보라 그를 두었던 곳이니라
가서 그의 제자들과 베드로에게 이르기를
예수께서 너희보다 먼저 갈릴리로 가시나니
전에 너희에게 말씀하신 대로 너희가 거기서 뵈오리라 하라' 하는지라
여자들이 몹시 놀라 떨며 나와 무덤에서 도망하고 무서워하여 아무에게 아무 말도 하지 못하더라」
-마가복음 16장 1-8절 -
'묵상과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이 상했다면 이 쪽 뺨도 한대 더 때리세요! (0) | 2022.02.18 |
---|---|
“꼭 아셔야 할 일이 한 가지 더 있습니다.” (0) | 2022.01.28 |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별한 습관/빨리 걷는다 (0) | 2022.01.14 |
"얘들아! 너희가 아저씨랑 같이 먹어 줄래?" (0) | 2022.01.12 |
우리는 당신들의 기쁨조가 아닙니다. (0) | 2022.01.12 |